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● 레지스트리 편집을 통한 공유 해제 방법

by 호야호잇 2018. 7. 9.


 

 ●  관리목적 공유폴더 해제하기  

 

[시작] → [실행] → [regedit] 입력 후, [확인] 버튼을 클릭한다.

 

 

       

[그림 3-1] regedit를 입력하고 엔터한다.

 

 

 

 

HKEY_LOCA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Services\LanmanServer\Parameters를 선택한 상태에서 마우스를 메뉴 트리가 아닌 오른쪽 필드 (이름/종류/데이터가 있는 부분)로 이동하여 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→ 새로만들기 → DWORD 값 클릭 → [새 값 #1]에 AutoShareServer (win2k의 경우 AutoShareWks)를 입력한 후, 생성된 AutoShareServer의 데이터 값을 0으로 설정한다.

 

 

       

[그림 3-2]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

 

 

 

 

       

[그림 3-3] AutoShareServer를 생성한다.

 

 

 

 

 ●  외부에서 내 컴퓨터의 공유폴더 접근 차단하기

 

[시작] → [실행] → [regedit] 입력 후, [확인] 버튼을 클릭한다.

 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Control\Lsa에서 [restrictanonymous] 값을 1로 변경한다.

 

 

       

[그림 3-4]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

 

 

 

 

       

[그림 3-5] DWORD 값을 1로 변경한다.

 

 

 

 

       

[그림 3-6]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의 수정된 화면

 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먼저 [시작 > 실행] 에서 "regedit" 명령으로 레지스트리 창을 띄웁니다. 그리고 아래 경로로 찾아 갑니다.


HKEY_LOCAL_MACHINE > System > CurrentControlSet > Services > LanmanServer > Parameters

 

보안과 성능 향상을 위한 윈도우 기본 공유 해제 방법


그리고 우측 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통하여 [새로 만들기 > DWORD(32비트) 값] 을 선택 합니다. 그리고 생성된 레지스트리 이름으로 "AutoShareWks" 로 설정 합니다. 설정 값을 [16진수 "0"] 으로 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이름만 제대로 적었다면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.


보안과 성능 향상을 위한 윈도우 기본 공유 해제 방법


AutoShareWks 가 만들어 진걸 확인 하였으면 이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. 재부팅을 하고 나면 위 컴퓨터 관리 화면에서 봤던 기본 공유 항목들이 없어 질걸 볼수 있습니다. 


[주의]

레지스트리 편집은 윈도우에 치명적인 오류를 만들수 있습니다. 그러니 레지스트리 편집시에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. 만약 문제 발생시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거 아시죠? ^^


보안과 성능 향상을 위한 윈도우 기본 공유 해제 방법


IPC$ 를 제외한 모든 항목이 사라진걸 확인 할수 있습니다. IPC$ 는 네트워크를 연결는 부분에 쓰이는 것이기 때문에 삭제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 그리고 지워지지도 않습니다. ^^ 만약 사용자가 공유한 항목이 아닌 항목이 보인다면 마우스 우클릭을 통하여 [공유 중지] 를 해주시기 바랍니다.


그런데 만약 위 방법 적용후 문제 발생시 추가 했던 레지스트리키를 삭제 하면 다시 원복이 됩니다. 


이렇게 레지스트리를 이용하여 윈도우 기본 공유 해제를 해두면 앞으로 윈도우를 부팅해도 기본 공유는 다시 활성화 되지 않을 것입니다. 그리고 이 내용은 윈도우7, 윈도우10 다 사용할수 있는 방법입니다.


  

원래 이 방법은 net share 명령으로 명령 프롬프트(cmd) 창에서 하던 작업들입니다. 하지만 윈도우의 장점이 UI인데 굳이 어렵게 cmd 창에서 할필요가 없지 않겠습니까... ㅋ 


보안과 성능 향상을 위한 윈도우 기본 공유 해제 방법


이렇게 윈도우 기본 공유 항목을 삭제 하고 나면 왠지 보안상 좋아 졌다는 느낌도 들지만, 제가 이 방법을 더욱 좋아하게 된 이유가 성능이 많이 향상 되었다는 것입니다. 제가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서브 컴퓨터가 좀 오래 되고 사양이 안좋아 버벅임이 좀 심했는데 윈도우 기본 공유 해제를 해두니 이상하게 버벅임이 줄어든 느낌입니다. 그리고 메모리도 훨씬 적게 먹는거 같구 말이죠. ^^ 


제가 이 윈도우 기본 공유 해제로 컴퓨터 성능이 좋아 졌다는 느낌이 드니까 꼭 예전에 하던 유명한 농담이 떠오르네요. "모니터를 닦았더니 컴퓨터가 빨라 졌어요" ㅋㅋㅋ 이런 농담이 떠오른 이유가 성능 향상과 큰 영향이 없을거 같은데 성능이 향상되니 신기해서 이런 농담이 떠오른거 같습니다. ^^


아무튼 보안과 성능을 위해서 윈도우 기본 공유 해제는 해줄 필요가 있는거 같습니다. 만약 이 방법을 모르셨던 분들이라면 꼭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.